CS/네트워크
[CS/Network] GET과 POST의 차이점
dbfl9911
2024. 10. 29. 21:55
반응형
• GET과 POST의 차이점
- GET 방식
-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헤더에 추가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므로 보안적으로 중요한 데이터를 포함해서는 안됩니다.
- POST 방식
- 데이터를 추가 또는 수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바디에 추가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 완전히 안전하다는 것은 아니지만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지 않아 GET보다는 안전합니다.
처리 방식 | GET 방식 | POST 방식 |
URL에 데이터 노출 여부 | O | X |
URL 예시 | http://localhost:8080/boardList?name=제목&contents=내용 | http://localhost:8080/addBoard |
데이터의 위치 | Header(헤더) | Body(바디) |
캐싱 가능 여부 | O | X |
멱등성 여부 | O | X |
📓 캐싱 / 멱등성
· 캐싱 :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두고, 빠르게 가져오는 기술
· 멱등성 : 같은 요청을 여러 번 보내더라도 결과가 변하지 않는 성질
* 위 글은 아래 문서를 참고해 작성했습니다.
https://dev-coco.tistory.com/161
신입 개발자 기술면접 질문 정리 - 네트워크
💡 HTTP 프로토콜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이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릅니다. HTTP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Stateless의 특
dev-coco.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