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lockchain 101] Proof of Stake(PoS)Intern/블록체인 2024. 11. 30. 19:58
• Proof of Stake(POS)의 특징 / 원리
➀ PoW와는 달리, 자신이 보유한 암호화폐(지분, Stake)를 기반으로 블록 생성 권한을 부여하는 합의 알고리즘
➁ 채굴(Mining) 대신 검증(Validating)으로 대체
➂ 보유한 암호화폐의 양이 많고 오래 보유한 사용자에게 블록 생성 확률이 높아짐
- 작동 방식
➀ 블록 생성자는 네트워크 내에서 랜덤으로 선택
➁ 선택 과정은 보유 암호화폐 양(지분), 보유 기간, 무작위성을 기준으로 함
➂ 블록 생성자는 새로운 블록을 검증 및 추가하고, 이에 따른 보상을 받음
• Proof of Stake(POS)의 장점
➀ 에너지 절약
- PoW처럼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지 않음
- 친환경적이고 비용 효율적
➁ 경제적 보상 구조
- 암호화폐를 오래 보유한 사용자에게 보상이 돌아가므로 참여자들이 네트워크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동기를 가짐
➂ 보안성 개선
- PoW와 비교해 51% 공격이 비용적으로 어렵게 설계됨
- 해커가 네트워크를 공격하려면 전체 스테이킹된 암호화폐의 과반수를 소유해야 하며, 이는 엄청난 비용이 듬
➃ 확장성
- PoS는 PoW보다 트랜잭션 처리 속도가 빠르고 네트워크 확장에 유리
• Proof of Stake(POS)의 단점
➀ 중앙화 가능성
- 많은 지분을 가진 사용자에게 블록 생성 권한이 집중될 가능성
- '부익부 빈익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➁ 보안 취약성
- PoW와 비교해 검증자들이 덜 노력하므로, 네트워크에 대한 공격 시 동기 부여가 약할 수 있음
- 특히 Nothing at Stake 문제 : 검증자가 여러 체인에 동시에 블록을 생성하는 공격 가능성
➂ 초기 진입 장벽
- PoS 네트워크의 검증자로 참여하려면 일정량 이상의 암호화폐를 보유해야 하며, 이는 신규 참여자에게 진입 장벽이 됨
➃ 검증자 집중화 문제
- 네트워크 초기에는 검증자들이 제한적일 가능성이 높아, 소수의 검증자에 의해 네트워크가 운영될 수 있음
• PoS를 채택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위변조가 발생 가능한 경우
➀ Nothing at Stake 문제
- PoS 검증자가 여러 체인에서 동시에 블록을 생성하거나 검증할 수 있는 상황
- 이는 네트워크가 포트(Fork)될 위험을 증가시킴
➁ 51% 공격
- PoW에서는 해시파워의 51%를 장악해야 공격이 가능하지만, PoS에서는 전체 스테이킹된 암호화폐의 과반수 이상을 소유해야 공격 가능
- 특정 검증자가 과도한 지분을 소유하면 중앙화로 이어질 수 있음
➂ 경제적 동기 부족
- PoW와 달리 PoS에서는 네트워크 검증 참여자들이 해킹 시 보상을 잃는 리스크가 적음
➃ 검증자 조작 가능성
- 검증자가 협력해 잘못된 블록을 생성할 가능성
- 검증자 네트워크가 분산되지 않으면 조작 위험이 증가
반응형'Intern >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ockchain 101] Metamask 지갑 (0) 2024.11.30 [Blockchain 101] Proof of Work(PoW) (0) 2024.11.28 [Blockchain 101] 블록체인의 장단점 (0) 2024.11.27 [Blockchain 101] 브릿지 (0) 2024.11.27 [Blockchain 101] Smart Contract (0) 2024.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