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네트워크
-
[CS/Network] TCP와 UDP의 차이 / TCP 3, 4 way-handshakeCS/네트워크 2025. 2. 27. 15:45
• TCP와 UDP의 차이TCP는 연결형 서비스로 3-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지만, 속도가 비교적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UDP는 비연결형 서비스로 3-way handshaking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데이터 수신 여부를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TCP는 신뢰성이 중요한 파일 교환과 같은 경우에 쓰이고, UDP는 실시간성이 중요한 스트리밍에 자주 사용됩니다. 프로토콜 종류 TCPUDP연결 방식연결형 서비스 비연결형 서비스 패킷 교환 방식가상 회선 방식 데이터그램 방식 전송 순서 전송 순서 보장전송 순서가 바뀔 수 있음 수신 여부 확인 수신 여부를 확인함 수신 여부를 확인하지 ..
-
[CS/Network] 웹 동작 방식 이해 : https://www.google.com/ 을 접속할 때 일어나는 일 / 3 way-handshake와 4 way-handshakeCS/네트워크 2025. 2. 25. 15:36
• 웹 동작 방식 이해 : https://www.google.com/ 을 접속할 때 일어나는 일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URL(www.google.com)을 입력DNS 서버에 도메인 네임으로 서버의 진짜 주소를 찾음IP 주소로 웹 서버에 TCP 3 handshake로 연결 수립 클라이언트는 웹 서버로 HTTP 요청 메시지 보냄웹 서버는 HTTP 응답 메시지를 보냄도착한 HTTP 응답 메시지는 웹 페이지 데이터로 반환되고, 웹 브라우저에 의해 출력 • 3 way-handshake와 4 way-handshake3 way-handshake는 TCP 네트워크에서 통신 하는 장치가 서로 연결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송신자와 수신자는 총 3번에 걸쳐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지 확..
-
[CS/Network] 쿠키(Cookie)와 세션(Session)의 차이점CS/네트워크 2025. 2. 24. 17:47
• 쿠키와 세션의 차이점쿠키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입니다. HTTP에서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PC에 저장했다가 필요시 정보를 참조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세션은 일정 기간동안 같은 사용자로부터 들어오는 일련의 요구를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술입니다. 즉, 방문자가 웹 서버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하나의 단위로 보고 그것을 세션이라고 합니다. 쿠키(Cookie)세션(Session)저장 위치 클라이언트(=접속자 PC)웹 서버 저장 형식textObject만료 시점쿠키 저장시 설정(브라우저가 종료되도, 만료 시점이 지나지 않으면 삭제되지 않음)브라우저 종료시 삭제(기간 지정 가능)사용하는 자원(리소스)클라이언트 리소스 웹 서버 리소스 용량 제한 총 30..
-
[CS/Network] HTTP 프로토콜 / HTTP와 HTTPS의 차이점CS/네트워크 2025. 2. 22. 20:26
• HTTP 프로토콜 -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이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릅니다. - HTTP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 Stateless의 특징과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맞는 응답을 보낸 후 연결을 끊는 Connectionless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장점통신간의 연결 상태 처리나 상태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없어 서버 디자인이 간단합니다. 각각의 HTTP 요청에 독립적으로 응답만 보내주면 OK - 단점이전 통신 정보를 모르기 때문에 매번 인증을 해줘야 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쿠키나 세션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 HTTP과 HTTPS의 차이점HTTP는 평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기 때문..
-
[CS/Network] GET과 POST의 차이점 / HTTP MethodCS/네트워크 2024. 10. 29. 21:55
• GET과 POST의 차이점 - GET 방식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헤더에 추가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므로 보안적으로 중요한 데이터를 포함해서는 안됩니다. - POST 방식데이터를 추가 또는 수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바디에 추가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완전히 안전하다는 것은 아니지만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지 않아 GET보다는 안전합니다. 처리 방식 GET 방식POST 방식URL에 데이터 노출 여부OXURL 예시 http://localhost:8080/boardList?name=제목&contents=내용http://localhost:8080/addBoard데이터의 위치 Header(헤더)Body(바디)캐싱 가능 여부 OX멱등성 여..